지역현안 문제해결 - Hanyang University Institute for RISE
대학의 지식과 지역의 문제를 연결해, 함께 해답을 찾는 지역혁신 모델을 실현합니다.
사업 개요 |
---|
|
추진배경
- (지역 패션․봉제산업 협업 우수성과 보유) 서울 동북권(성동·중·성북·동대문 등)을 중심으로 패션․봉제산업 연계 산학협력 기반을 보유, 지역 맞춤형 문제해결 플랫폼 역량을 갖춤
- (LINC 3.0 및 HiVE 성과 창출) 특히 LINC+, LINC 3.0 및 HiVE 사업으로 지산학 자원순환 프로젝트, 폐원단 업사이클링, 지역 봉제기업 연계 캡스톤디자인 등 실천적 협력 모델 우수성과를 창출함
- (서울 동북권 지역 현안 해결) 봉제산업은 고령화, 폐원단 처리 미비, 인력 미스매칭 등 복합적 현안을 안고 있으며, 이는 산업 생존 뿐 아니라 지역경제의 지속가능성과도 직결되는 문제임
- (대학-자치구-산업체 컨소시엄 구축) 기존 역량을 바탕으로 한양여대-한양대-성동구-동대문구
- 패션봉제협회 컨소시엄을 구축하여 봉제산업의 기술 전환과 청년 고용 기반 확대, 산업 디지털화 대응을 통해 로컬브랜드 경쟁력 강화와 지역경제 순환 생태계 조성을 실현하고자 함
추진필요성
- (봉제 폐기물 다량 배출) 서울 동북권은 연간 약 100만 톤(추정)의 봉제 원단 조각이 배출되는 대표적 봉제산업 밀집지역이지만, 이에 대한 공식 통계나 배출·수거·재활용 실태를 담은 체계적인 데이터는 부재한 상황임
- (정량데이터 기반 자원순환 DB 필요) AI 기반 지자체별 폐원단 배출 현황과 특성을 분석·시각화하여 데이터기반 업사이클 전략이 필요하며, 이에 한양대 보유 기술을 활용하고자 함
- (숙련인력 일자리 미스매칭 해소) 봉제산업의 고령화 및 디지털 전환 미흡으로 산업경쟁력 저하 문제 심화, 한양대 보유 AI 추천 기술 활용 맞춤형 구인·구직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임
- (지역 경제 활성화 기여) 봉제 기능 인력의 자격 인증, 역량 재설계, 국가 인증제도 연계를 통해 전문성과 고용의 지속성을 강화하는 교육-인증-매칭 통합체계가 필요한 시점이며, 이는 지역 내 고용 창출뿐 아니라 산업 생태계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
비전 및 목표
- (비전) AI-DX 기반 패션봉제산업의 지역사회 ESG 동반성장
- (전략목표) 지역사회문제 발굴 및 해결, 지역 패션봉제업체 상생, 지산학협력 산업현장인력 양성
추진체계
- 주관기관 등 : 한양여자대학교(주관), 한양대학교(참여), 성동구-동대문구(자치구), 패션봉제협회(산업체)
- 참여기관별 역할
구분 | 주관/참여 | 역할 |
---|---|---|
한양여자대학교 | 주관대학 |
|
한양대학교 | 참여대학 |
|
성동구청 | 자치구 |
|
동대문구청 | 자치구 |
|
패션봉제협회 | 산업체 |
|
문의처
- 연락처 : 02-2220-0000, 000@hanyang.ac.kr
- 문의시간 : 평일 08:30~17:30
※ 주말 및 휴일은 이메일로 문의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