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역현안 문제해결

대학의 지식과 지역의 문제를 연결해, 함께 해답을 찾는 지역혁신 모델을 실현합니다.

Table Caption
사업 개요
  • 프로젝트 : 지역사회 동반성장
  • 단위과제 : 지역현안 문제해결
  • 사업기간 : 2025. 5. 1.~2030. 2. 28. (기본 3년 + 연장 2년)
  • 컨소시엄 : (주관) 한양여자대학교, (참여) 한양대학교
  • 추진내용 : 봉재 폐원단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학과 지역이 협력하여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솔루션 모색

추진배경

  • (지역 패션․봉제산업 협업 우수성과 보유) 서울 동북권(성동·중·성북·동대문 등)을 중심으로 패션․봉제산업 연계 산학협력 기반을 보유, 지역 맞춤형 문제해결 플랫폼 역량을 갖춤
  • (LINC 3.0 및 HiVE 성과 창출) 특히 LINC+, LINC 3.0 및 HiVE 사업으로 지산학 자원순환 프로젝트, 폐원단 업사이클링, 지역 봉제기업 연계 캡스톤디자인 등 실천적 협력 모델 우수성과를 창출함
  • (서울 동북권 지역 현안 해결) 봉제산업은 고령화, 폐원단 처리 미비, 인력 미스매칭 등 복합적 현안을 안고 있으며, 이는 산업 생존 뿐 아니라 지역경제의 지속가능성과도 직결되는 문제임
  • (대학-자치구-산업체 컨소시엄 구축) 기존 역량을 바탕으로 한양여대-한양대-성동구-동대문구
  • 패션봉제협회 컨소시엄을 구축하여 봉제산업의 기술 전환과 청년 고용 기반 확대, 산업 디지털화 대응을 통해 로컬브랜드 경쟁력 강화와 지역경제 순환 생태계 조성을 실현하고자 함

추진필요성

  • (봉제 폐기물 다량 배출) 서울 동북권은 연간 약 100만 톤(추정)의 봉제 원단 조각이 배출되는 대표적 봉제산업 밀집지역이지만, 이에 대한 공식 통계나 배출·수거·재활용 실태를 담은 체계적인 데이터는 부재한 상황임
  • (정량데이터 기반 자원순환 DB 필요) AI 기반 지자체별 폐원단 배출 현황과 특성을 분석·시각화하여 데이터기반 업사이클 전략이 필요하며, 이에 한양대 보유 기술을 활용하고자 함
  • (숙련인력 일자리 미스매칭 해소) 봉제산업의 고령화 및 디지털 전환 미흡으로 산업경쟁력 저하 문제 심화, 한양대 보유 AI 추천 기술 활용 맞춤형 구인·구직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임
  • (지역 경제 활성화 기여) 봉제 기능 인력의 자격 인증, 역량 재설계, 국가 인증제도 연계를 통해 전문성과 고용의 지속성을 강화하는 교육-인증-매칭 통합체계가 필요한 시점이며, 이는 지역 내 고용 창출뿐 아니라 산업 생태계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

비전 및 목표

  • (비전) AI-DX 기반 패션봉제산업의 지역사회 ESG 동반성장
  • (전략목표) 지역사회문제 발굴 및 해결, 지역 패션봉제업체 상생, 지산학협력 산업현장인력 양성

추진체계

  • 주관기관 등 : 한양여자대학교(주관), 한양대학교(참여), 성동구-동대문구(자치구), 패션봉제협회(산업체)
  • 참여기관별 역할
Table Caption
구분 주관/참여 역할
한양여자대학교 주관대학
  • 폐원단 자원순환 프로세스 및 봉제자격증 취득 연계한 DB 구축
  • 봉제인 역량강화 및 지속가능한 교육
한양대학교 참여대학
  • 폐원단 데이터 분석, AI기반 구인-구직 매칭 플랫폼 개발 및 운영
성동구청 자치구
  • 성동스마트센터
 - 패션봉제소상공인 디지털의류생산시스템 지원 및 봉제원단 분리 배출
  • 지역산업 패션봉제산업 활성화를 위한 환경개선, 교육. 일감연계 지원
동대문구청 자치구
  • 동대문구 봉제 패션지원센터, 동대문구 패션봉제 복합지원센터
 - 패션봉제소상공인 디지털의류생산시스템 지원 및 봉제원단 분리 배출
  • 패션봉제 소공인의 역량강화 및 경력 재설계지원을 위한 봉제인증자격제도 지원 
패션봉제협회 산업체
  • 폐원단 배출 단계에서 전용포대별 태그부착 및 중량인식
  • RFID센서를 통한 배출자 인식, 인증된 폐기물 종류, 중량, 내역 확인 후 자료전송
  • 산업체 수요에 적합한 인력발굴을 위한 봉제인증경력제 지원 및 봉제인증자격취득자 유기적 관리 지원 

문의처

  • 연락처 : 02-2220-0000, 000@hanyang.ac.kr
  • 문의시간 : 평일 08:30~17:30

   ※ 주말 및 휴일은 이메일로 문의 바랍니다.